갯벌 자정 능력 세계 최초로 규명
상태바
갯벌 자정 능력 세계 최초로 규명
  • 안현선 기자
  • 승인 2024.03.25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김종성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김종성 교수 연구팀은 갯벌의 자정 능력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갯벌은 육상과 해양 사이에서 각각으로부터 오는 오염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갯벌은 오랜 시간 동안 오염과 정화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 갯벌의 오염물질 자정 능력은 생태계 서비스 중 조절 서비스로서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정화 능력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갯벌의 정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60일간 경남 창원시 봉암갯벌에서 현장 메조코즘 연구를 진행했다.

갯벌이 오염물질을 정화하면서 변화되는 화학적, 독성학적, 생태학적 10가지 요인들을 확인했고, 그 변화 특성들을 삼중접근법과 함께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파악했다.

그 결과 오염된 퇴적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학적, 독성학적으로 60일 동안 최대 70%까지 회복했고, 이는 특히 미생물들의 활동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갯벌 내 대형저서동물과 염생식물이 오염퇴적물 정화를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대형저서동물과 염생식물이 갯벌의 자정 속도를 500일에서 300일로 단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측 모델을 통해 확인했다.

갯벌 퇴적물 내 생물의 다양한 활동이 오염물질의 분해, 탈착, 이동 등 거동을 증가시켰고, 이 변화를 통해 오염물질의 양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반적으로 이번 연구는 갯벌의 육상 기인 오염물질에 대한 정화 능력을 정량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향후 갯벌 생태계 관리를 위해 환경과 생태를 동시에 고려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 분야 국제 최상위 학술지 ‘국제환경(Environment International) 저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국내 유일 내만형 갯벌인 봉암갯벌의 육상 기인 오염 물질 자정 능력을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봉암갯벌은 인근 주거·산업지역에 의해 오염물질 유출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곳이다.

즉, 육상과 외해(먼 바다)의 완충 역할을 하는 갯벌의 자정 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해 갯벌 생태계 서비스 가치를 규명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확인하기 위해 봉암갯벌 내 오염퇴적물의 정화 프로세스를 확인하는 현장 메조코즘 연구를 진행했다.

김종성 교수는 “현장 메조코즘 실험을 통한 갯벌의 조절 서비스 기능을 규명한 세계 최초 연구 사례로, 갯벌로 유입되는 육상 기인 유기오염물질의 분포, 거동, 생태계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해 예측 모델을 제시했다”면서 “향후 갯벌 생태계 서비스 가치 제고는 물론 갯벌 복원과 관리를 위한 해양보호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