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우리나라 수산업 총생산량
상태바
□2023 우리나라 수산업 총생산량
  • 탁희업 기자
  • 승인 2024.03.04 08: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수산물 생산량 368만 톤, 전년보다 소폭 증가

연근해어업 증가한 반면 해면양식과 내수면어업 부진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증가했지만 원양, 양식, 내수면어업 생산량은 경영 여건 악화와 해양환경 변화 등으로 생산량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어업 총생산량은 2022년(361만 톤) 대비 1.8% 증가한 368만 톤을 기록했다. 생산금액은 2022년(9조2494억 원) 대비 0.4% 증가한 9조2883억 원으로 집계됐다.

□ 연근해어업 
2023년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총 95만5000톤으로, 전년 생산량(88만8000톤) 및 최근 5년 평균 생산량(93만7000톤)에 비해 각각 7.6%, 1.9% 증가했다. 연근해어업 생산금액은 총 4조3672억 원으로, 전년 생산금액(4조430억 원) 및 최근 5년 평균 생산금액(4조1317억 원)에 비해 각각 8.0%, 5.4% 증가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14만7000톤(11.8%), 고등어 12만 톤(8.3%), 갈치 6만 톤(12.2%), 정어리 4만8000 톤(299.2%), 삼치류 4만5000톤(28.2%), 붉은대게 3만1000톤(27.9%), 꽃게 2만7000톤(24.5%) 등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반면 오징어는 2만3000톤(△36.2%), 청어 2만1000톤(△23.3%), 참조기 1만5000톤(△7.8%) 등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해양수산부는 전년 대비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증가한 것은 2022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해황과 삼치 등 난류성 어종의 어장이 형성된 것 등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했다.
 
□ 해면양식업 
2023년 해면양식업 생산량은 총 226만9000톤으로, 전년(227만4000톤) 및 최근 5년 생산량(232만9000톤)에 비해 각각 0.2%, 2.5% 감소했다. 해면양식업 생산금액은 3조1379억 원으로, 전년(3조3866억 원)에 비해 7.3% 감소했고, 최근 5년 평균(3조447억 원)에 비해서는 3.1% 증가했다.
주요 양식품목 생산량은 다시마 59만6000톤, 김 53만3000톤, 굴 31만1000톤, 전복 2만4000톤, 넙치(광어) 4만 톤, 조피볼락(우럭) 1만4000톤 등으로 나타났다.
다시마는 이상조류(영양염류 부족)와 강풍 피해로 작황이 좋지 않았던 2022년과 달리, 기상 여건 등이 양호해 생산량은 전년보다 6.3% 증가했다.
반면 김은 전년 대비 3.1% 감소했는데, 어기 초 발생한 황백화(영양분 결핍으로 황백색으로 변하는 현상) 등의 영향으로 주 생산시기인 2023년 상반기에 생산이 원활하지 못했던 때문으로 조사됐다.
굴은 수온 등 전반적인 생산 여건이 양호해 전년 수준의 생산량을 보였다. 전복은 전년보다 생산량이 9.3% 증가했다. 주 성장시기인 2022년에 고수온 등 자연재해가 거의 없어 2023년 작황이 좋았기 때문이다.
넙치(광어)의 2022년 치어 입식량은 예년보다 적었으며, 이 때문에 출하시기인 2023년 생산량이 전년보다 12.9%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조피볼락(우럭)도 전년 대비 10.9% 감소했는데, 이는 통영, 여수 등 주요 산지에서 발생한 여름철 고수온 피해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 원양어업 
2023년도 원양어업 생산량은 41만 톤으로, 전년 생산량(40만 톤) 및 최근 5년 평균 생산량(45만 톤)에 비해 각각 2.7% 증가, 9.2% 감소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가다랑어 20만1000톤, 황다랑어 6만1000톤, 눈다랑어 2만5000톤, 오징어류 3만2000톤, 명태 2만8000톤, 민대구 8000톤, 이빨고기 4000톤 등이다.
대표적인 원양어업 어종인 다랑어류의 경우, 태평양 기후변동(엘리뇨)이 생산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며, 가다랑어의 경우 조업 횟수는 감소했으나 어군 밀집 조업으로 어획량은 평년 수준을 유지했다.
황다랑어와 눈다랑어는 태평양 표층수온 상승(1880년 관측 이후 최고치)에도 불구하고 어장범위 확대(서부태평양→중·서부태평양)로 전년 대비 각각 16.4%, 17.8% 증가했다.
오징어는 기후 변동 등 남서대서양해역 오징어 어황 저조로 전년 및 최근 5년 대비 각각 34.5%, 26.4% 감소했고, 북태평양 꽁치는 지난 몇 년간 자원 상태의 급격한 악화로 조업 척수가 감소(10척→6척)해 최근 5년 평균 대비 67.9% 감소했다.
 
□ 내수면어업 
2023년 내수면어업 생산량은 총 4만2900톤으로, 전년 생산량(4만8800톤) 및 최근 5년 평균 생산량(3만9200 톤)에 비해 각각 12.1% 감소, 9.4% 증가했다.
내수면어업의 주요 품종 생산량은 모두 감소했다. 잉어 9000톤(전년 대비 51.8%), 붕어 2000톤(40.2%) 등에서 전년 대비 감소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뱀장어는 수입량이 증가하면서 국내산 뱀장어의 소비 둔화로 전년 대비 11.2% 줄어들었다.
 
□전망과 대책 
해양수산부는 연근해어업 생산량을 회복하기 위해 올해 중 ‘지속 가능한 연근해어업발전법’을 제정(2023년 11월 국무회의 통과)하고, 총허용어획량(TAC) 전면 도입을 추진하는 등 어획량 관리·감독 및 수산자원 관리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불합리한 어업규제는 과감히 철폐·완화할 계획이다.
또한 수산자원량에 비해 과도한 어선세력을 조정하고 남획을 방지하기 위한 어선 감척을 지속 추진하며 바다숲 및 산란·서식장 조성, 어구보증금제 추진 등을 통해 수산자원과 바다생태계를 회복시킬 계획이다.
2024년 양식업 생산량은 전년에 비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다시마 등 해조류의 경우 어기 초 자연재해가 거의 없어 작황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나, 1년 이상 다년간 사육하는 패류와 어류의 경우는 2023년 여름철 고수온 피해의 여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24년 생산량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올해 원양어업은 주요 협력국가인 투발루, 키리바시 등 태평양 도서국과의 공적개발원조사업(ODA) 추진, 원양어선 안전펀드를 통한 지속적인 노후화 어선 대체 건조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원양어업 및 안정적인 원양 생산량을 확보할 계획이며 명태, 오징어, 조기 등 소비량이 많은 어종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수산자원이 풍부한 새로운 해외어장도 개발해나갈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