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레저(유어낚시) 증가에 따른 어업인·레저객 상생방안
상태바
해양레저(유어낚시) 증가에 따른 어업인·레저객 상생방안
  • 한국수산경제
  • 승인 2022.09.1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도훈 부경대학교 교수
김도훈 부경대학교 교수

일반인들의 레저생활이 다양해지면서 해양레저(유어낚시) 인구도 늘어나고 있다.


해양수산부 자료에 따르면 2000년 500만 명이던 낚시 인구는 2018년 850만 명까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으며 현재는 더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양레저는 야외에서 활동하기 좋은 계절인 봄, 가을에 많이 하며, 약 80%가 2명에서 4명 규모로 하고 낚시 활동시간은 30%가 3~6시간, 27%가 6~9시간을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유어낚시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지역 어업인과 갈등을 겪는 문제점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무분별한 낚시활동으로 해양환경 오염이 발생하며 유어낚시 활동 증가에 따라 안전사고도 늘고 있다. 이와 함께 수산자원 보호 등을 위한 낚시 관련 제도도 미비하다.


제도와 정책적으로 미흡한 것은 낚시 마릿수 제한 등 수산자원 보호정책의 미비와 명예감시원제도, 우수 낚시터 인증제도 등의 미시행을 꼽을 수 있다.


낚시객과 지역 어업인 상생방안의 부족한 부문은 낚시 관련 단체와 지역민과 어업인 간의 상호 협력이 부족하며 어업인, 지역민, 낚시단체, 지자체, 정부 등 상호 협의체 미구축을 들 수 있다.


건전한 낚시문화가 정착하지 못한 것도 문제점이다. 낚시 교육 인프라와 국민 대상 교육이 부족하며 낚시어선과 낚시터 안전관리도 미흡해 안전사고가 증가하는 추세다.


다른 나라와 낚시 정책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는 낚시 어획량 제한(마릿수 제한), 낚시면허제(선순환적 기금 활용), 낚시 어획물의 상업적 판매 금지, 유어자원 회복 프로그램(선순환적 기금 활용), 학교에서의 낚시 교육프로그램 운영, 낚시 관련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낚시 협의체 운영 등을 시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레저객과 지역 어업인의 상생방안으로는 스스로 협의하는 자율적 상생방안과 제도와 정부 지원을 통해 협의를 하는 정부 지원형 상생방안이 있다.


자율적 상생방안은 안동호를 사례로 들 수 있다.


안동호는 배스 유어객수가 1회에 100~300명가량 된다. 유어객당 평균 지출액은 하루 1회에 23만6000원꼴이며 유어객당 평균 출조 횟수는 연간 43회 정도다.


유어객은 어촌계와 맺은 협약에 따라 주말에만 배스낚시 활동을 하고 안동지역에서 음식, 숙박, 주유 등 소비를 하며 환경 정화활동을 펼침으로써 자율적 상생방안의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밀양호도 자율적 상생방안으로 레저객과 지역 어업인들 간 협조가 잘되고 있다.


밀양호는 배스 유어객이 1회에 100~300명으로 유어객당 하루 평균 지출액은 25만 원으로 파악되고 있다. 유어객당 평균 출조횟수는 연 30회이며 어촌계와는 주말에 배스낚시 활동, 지역에서의 지출, 어촌계에 이용료 지급을 하며 자율적 협의를 통해 마찰 없이 운영되고 있다. 레저객과 지역 어업인의 상생방안 중 정부 지원형 상생방안은 낚시산업 선진화 사업을 확대하고 낚시 관리(통제)구역을 지정하는 것이다.


낚시산업 선진화 사업의 확대는 낚시 관리 및 육성법에 근거해 2014년부터 실시하고 있으며 낚시터 환경 개선, 교육, 정보, 연구용역, 홍보, 수출산업화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낚시 관리(통제)구역 지정은 분쟁어장과 수산자원 보호 등을 위한 구역을 관리(통제)구역으로 지정해 특별관리하는 것이다. 낚시관리구역 지정과 운용을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피해어장에 대해서는 지자체와 정부에서 우선적 지원 등을 통해 지역어업인의 소득을 보장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