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정화 인천수산물유통업협동조합 이사장
상태바
[인터뷰] 김정화 인천수산물유통업협동조합 이사장
  • 탁희업 기자
  • 승인 2020.05.18 09: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활어시장 활성화와 조합 위상 제고에 최선 다할 것”

“우리가 가진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활어 유통 질서를 확립하고 가격 안정과 소비자 위생 안전 등을 고려해 제도권 내 진입이 필요합니다.”
지난 3월 열린 인천수산물유통업협동조합(이하 인천수산물조합) 제8대 이사장에 추대돼 지난 4월 1일부터 업무에 들어간 김정화 서부수산 대표는 침체돼 있는 인천 활어시장과 조합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수도권 활어시장 30% 점유

수도권 활어 유통시장의 30%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인천수산물조합은 인천연안부두(국제여객터미널) 인근에 형성된 120여 개 활어도매업자들이 지난 1997년 결성한 단체다. 지난해 말 기준 연간 거래 규모가 4만5000여 톤에 달하며 거래 규모도 4000억 원이 넘는다. 비조합원들을 포함하면 두 배에 이른다. 하지만 지역적인 문제와 비제도권의 장외시장에 머물러 있어 조합의 기능과 역할이 한계에 직면해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코로나19 사태로 위기에 직면해 있지만 정부의 관리 대상에서도 제외돼 방치돼 있는 실정이다. 업소당 연간 매출액이 20억∼30억 원에 이르지만 소상공인에서도 제외돼 있다.
김 이사장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을 튼튼하게 육성하면 산지와 소비지 모두 활성화가 가능하다”면서 “활어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사업에 매진할 것”이라며 강한 의욕을 내비쳤다. 가장 핵심 사업이 제도권 진입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수협 설립 등 제도권 진입 추진
조합 출범 당시 유통인이라는 규정에 묶여 수산인으로 포함되지 못해 조합은 중소기업중앙회 소속으로 등록해 활동해 왔다. 이 때문에 설립된 지 23년의 역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장외 활어 유통시장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양수산 관련 단체에서 소외되고 수산정책에서도 제외돼왔다.
지난 2014년에는 수산업협동조합 설립을 추진했으나 지지부진한 상태다. 지난 2003년과 2009년 해양수산부와 인천시가 추진했던 인천지역 수산물 유통 활성화 계획에서도 빠졌다. 2017년에는 조합 자체적으로 이전을 추진하려 했으나 철거비용 등의 문제로 최종 무산되기도 했다.
조합의 기능이 축소·제한되면서 조합원들의 누수현상도 발생해 80여 명에 이르던 조합원도 현재 51명으로 줄어들었다.
김 이사장은 “조합이 역할을 다한다면 조합원들이 늘어나고 사업도 활성화될 수 있다”며 “제도권 진입을 위해 해양수산부와 인천시, 수산 관련 단체들과의 협력을 우선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산업협동조합 설립을 추진하고 긍극적으로는 수협중앙회 회원조합으로 가입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안전한 활어를 공급하고 계통 출하를 통한 산지 가격 안정을 위해서는 제도권 진입이 필요하며 인천활어조합만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정부가 인정하는 제도권 시장에 진입할 경우 활어 시장 거래 규모가 1조 원 이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수 공급 사업 등 다각화도 추진
또 한 가지는 조합 기능 활성화를 통한 사업 다각화다. 조합 자체적인 수익 창출은 물론 조합원들의 요구가 높은 해수 공급 사업 추진이다.
최근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활어차나 횟집 등에 공급되는 해수(海水)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일정한 수온 유지는 물론 살균 정수 처리된 살아 있는 해수 공급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운영 중인 국제여객터미널이 이전되면 배후 시설 부지를 확보해 해수공급시설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994년부터 이곳에서 활어 유통업에 종사해온 김 이사장은 활어유통업계에서는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특히 고향인 경남 통영, 거제 지역에서 양식어업인들이 키운 활어를 수도권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김 이사장은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조직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제도권내 진입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어 우리들의 장점을 부각시킨다면 현재의 조합보다 위상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면서 “중앙 및 지방 정부는 물론 수산 관련 기관 및 단체들과의 협력과 교류를 통해 활어시장의 활성화와 조합의 위상 제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